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전공자율선택제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2006건
,
3
/
402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996
[칼럼] 혹 떼려다 혹 붙인 '핵무장론'
위치 확인
[이왕휘,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에너지부가 우리나라를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 국가 목록(SCL)’에 포함시켰다. 민감국가 목록에 포함됨으로써 에너지부가 담당하는 원자력 발전, 핵 비확산, 반도체, 인공지능(AI), 양자, 바이오테크 등에서 한·미 협력이 제한된다. 미국 연구기관이 한국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축소하거나 지연할 수 있으며 연구에 필요한 기계 장비의 수출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략 https://www.ajunews.com/https:https://www.ajunews.com/view/20250317165425195
1995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25-03-24
432
동영상
동영상
lee.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94
[칼럼] 힐러몬스터의 굶기와 폭식 위고비의 탄생
위치 확인
[김홍표 교수, 약학대학] “한국인 71세 일생 중 음식물 27t 먹는다.” 이 기사는 1994년 겨울 한 일간지에 실렸다. 약 30년 전의 세상을 살았던 평균 한국인은 하루 약 1㎏이 조금 넘는 양의 음식물을 먹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하루 얼마만큼의 음식물을 먹으며 살아갈까? 2022년 보건산업진흥원 통계를 보면 약 1400g이다. 그 가운데 300g은 동물성 식품이 차지한다. 우리는 체중의 약 2%에 해당하는 음식물을 죽을 때까지 매일 먹는다. 그뿐만이 아니다. 우리는 자주 먹는다. 잘 때를 빼곤 꼬박 세 끼를 챙겨 먹는다. 한 끼 식사를 마치면 소화기관은 서둘러 그 음식물을 소화해 흡수한다. 그런 뒤 다음 끼니를 맞이한다. 우리 장은 깨어 있는 동안 부지런히 움직이며 자신의 업무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하략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192115025
1993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25-03-20
491
동영상
동영상
kim.pn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92
[칼럼] 스포츠 ‘융복합산업’으로 수원시 성장 견인하자
위치 확인
[이현서, 스포츠레저학과 교수] 지난 3월11일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수원, 용인, 안양에서 ‘기회타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발표하였다. 기회타운은 단순한 도시개발 사업이 아니라 일자리, 주거, 여가를 모두 충족시키는 공간을 만들어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원시는 수원 월드컵경기장 유휴지 6만6천여㎡에 2026년부터 2030년까지 2조7천억원을 투입하여 ‘우만 테크노밸리’를 조성, 첨단 융복합산업 중심지를 만들 계획이다. 또한 우만 테크노밸리에 체육회 입주, 경기도 제1선수촌 조성 등 체육 행정, 전문체육(엘리트체육), 생활체육(아마추어체육) 시설을 만들어 스포츠·문화 복합시설을 만들겠다고 한다. (하략)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2945
1991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5-03-19
479
동영상
동영상
첨부파일
첨부파일 (1)
첨부파일
이현서 교수.jpg
전체다운
팝업 닫기
이현서 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90
[칼럼] 의지·결심만으론 부족 재미가 있어야 버틴다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벌써 3월이다. 이쯤 되면 신년에 야심 차게 세웠던 결심과 목표들 중에 소리 없이 무너지거나 어그러지고 있는 것들이 슬슬 눈에 띄기 시작한다. 무엇이 문제일까? 이제는 의지나 신념 혹은 열정이 사라졌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겠지만 이 분야에 가장 정통한 연구자들에 의하면 그것은 이제 재미가 없다는 걸 본격적으로 뼈저리게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슨 뜻일까? 결심과 의지는 무언가를 재미가 없어도 할 수 있는 힘이며, 따라서 동력이 떨어지면 재미에 자리를 잠시 내어주어야 그 무언가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잘 보여주는 연구를 케이틀린 울리(Kaitlin Woolley) 코넬대 교수와 내적 동기 귄위자 아옐릿 피시배크(Ayelet Fishbach) 시카고대 교수가 발표한 적이 있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61995
1989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25-03-13
557
동영상
동영상
k.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988
[칼럼] 트럼프 상호관세보다 더 심각한 미국의 경기 침체
위치 확인
[이왕휘, 정치외교학과 교수] 취임 후 50일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첫 번째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다. 감세와 규제 완화를 통한 황금시대를 예고했던 그는 과도기에는 경기가 침체될 수도 있다고 말을 바꿨다. 이러한 말 바꾸기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지난 10일 하루에 다우지수 2.08%,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 2.7%, 나스닥은 4.0% 폭락했다. 하략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12580378
1987
작성자
이솔
작성일
2025-03-13
557
동영상
동영상
l.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